본문 바로가기
성경을 통한 삶공부 /오이코스모임

17- 28.율법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 / 롬7:1-12

by 오용주목사 2017. 7. 13.

17-28 오이코스 모임지

Ice Break : 로마서8:30절을 암송하시고 묵상을 통해 깨달은 것을 나눠보세요.

 

2017.7.9. 28.율법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 / 7:1-12

 

5:1 그러므로 우리가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평을 누리자

여기 그러므로라는 접속사는 그 앞에 나오는 로마서1-4장 전체를 요약하는 차원에서의 그러므로입니다. 그러면 그러므로라는 접속사를 가지고 로마서 1-4장을 닥 한마디로 요약하라면 바로 이신칭의입니다. 믿음으로 의롭다하심을 받았다. 그리고 51절의 이신칭의가 5, 6, 78장 까지 계속 연결이 되는데 이 이신칭의가 가져다주는 결과물이 어떠냐, 5장에서는 이 이신칭의로 말미암아 죽음의 지배와 영향력으로부터 자유함을 얻었다. 이 내용이 5장이고요, 그다음 6장에서는 이 이신칭의로 말미암아 죄의 지배와 영력으로부터 자유함을 누리게 되었다. 이것을 다루는 것이 6장이고요, 그리고 오늘 다루게 될 7장에서는 율법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유하게 되었다. 이게 로마서의 흐름인데 7장에서는 부부관계를 가지고 설명합니다.

7:2 남편 있는 여인이 그 남편 생전에는 법으로 그에게 매인 바 되나 만일 그 남편이 죽으면 남편의 법에서 벗어나느니라 7:3 그러므로 만일 그 남편 생전에 다른 남자에게 가면 음녀라 그러나 만일 남편이 죽으면 그 법에서 자유롭게 되나니 다른 남자에게 갈지라도 음녀가 되지 아니하느니라

무슨 말인가 하면? 바울은 그 당시 여자가 결혼을 하면 남편에게 속박이 되는, 그 남자에게 매이게 되는 그 당시 가부방적 사회문회를 가지고 그동안 율법이 우리를 향해 이런식으로 억압을 하고 명령을 했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제는 우리는 예수님과 연합하는 관계가 되어서 이제는 그 강압적인 율법의 다스림으로부터 해방하게 되었다. 그것을 그 당시 가부장적 결혼생활을 빗대어서 설명을 하는 겁니다. 그런데 여기서 흥미로운 것이 하나있는데 4절을 유심히 한번 보십시오,

7:4 그러므로 내 형제들아 너희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하였으니, 본문을 가만히 보면 죽은게 율법이 아니라 우리가, 내가 죽은 것입니다. 여러분 율법은 없어지거나, 폐기되거나 달라지지 않습니다. 율법과 관계 맺는 방식이 달라졌다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여기사 말한 죽은 옛 남편은 율법이 아닙니다. 율법에 대해 나쁜 방식으로 관계를 맺는 옛 사람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예수그리스가 내 인생의 주인으로 주권이 교체되었다면 율법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져야 하는데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율법에 대한 우리의 태도를 살펴보고자합니다.

 

1. 율법이 뭐냐?

존 파인버그(John Feinberg)에 의하면, 율법은 하나님께서 그 백성에게 주신 삶의 규칙(rule of life),” 순종하고 지켜야 하는 계명들(commandments)이다. 라고 말합니다.

 

2. 율법에 대한 그릇된 견해

1) 율법주의, 먼저 행함으로 의롭게 된다는 견해

64:6 무릇 우리는 다 부정한 자 같아서 우리의 의는 다 더러운 옷 같으며,

3:20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만약 우리가 행함으로 의롭게 되려면 한 가지 조건이 있는데 성경에 나와 있는 모든 율법을 한가지라고 어기면 안 되고 100% 다 지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3:10 무릇 율법 행위에 속한 자들은 저주 아래에 있나니 기록된 바 누구든지 율법 책에 기록된 대로 모든 일을 항상 행하지 아니하는 자는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우리 옛 사람이 율법에 대하여 죽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7:4 그러므로 내 형제들아 너희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하였으니 이는 다른 이 곧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이에게 가서 우리가 하나님을 위하여 열매를 맺게 하려 함이라

 

2:19 내가 율법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었나니 이는 하나님에 대하여 살려 함이

 

2) 반 율법주의, 우리가 믿음으로 구원을 얻으니, 이제는 더 이상 율법은 필요 없다, 율법은 지키지 않아도 된다, 율법 폐기론 자들의 견해

 

엠 알 디한(M.R. Dehaan)이라는 설교가가 이런 예를 들었습니다.

바울 사도는 지금 비슷한 논리를 펴고 있는 것입니다. (7:6, 31:31-33)

7:6 이제는 우리가 얽매였던 것에 대하여 죽었으므로 율법에서 벗어났으니 이러므로 우리가 영의 새로운 것으로 섬길 것이요 율법 조문의 묵은 것으로 아니할지니라

 

31:31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맺으리라 31:32 이 언약은 내가 그들의 조상들의 손을 잡고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날에 맺은 것과 같지 아니할 것은 내가 그들의 남편이 되었어도 그들이 내 언약을 깨뜨렸음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31:33 그러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 맺을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율법에 매이지 않으면서도 율법 지키기에 힘써야 합니다.

8:11예수께서 이르시되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 하시니라,

 

*오늘 말씀에 대한 반응으로 하나님은 당신이 무엇을 하지 않기를 원하십니까?

 

 

*오늘 말씀에 대한 반응으로 하나님은 당신이 무엇을 하기를 원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