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자료/내면의 상처와 치유

03. 굶주림과 두려움

by 오용주목사 2016. 9. 14.

03. 굶주림과 두려움



<굶주린 마음>

1. 굶주림이란 무엇인가 ?

1) 굶주린 마음이란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상처가 아니라 지속적인 애정 결핍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다.

- 거절감은 순간의 경험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지만, 굶주림은 지속적인 결핍상태에 의해서형성되는 상처이다.


2) 굶주린 마음은 그 결핍감 때문에 느끼는 불안과 그 굶주림을 채우려는 잘못된 노력에의한 관계 파괴, 그리고 채우지 못하는데서 오는 분노 등에 의해 고통 받는 마음이다.

- 인간은 굶주림의 상태에 그대로 머물러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그 굶주림을 채우려고 애쓰게 되는데, 그 과정 전반에서 또 다른 거절감과 이로 인한 분노와 불안, 두려움 등의 문제가 나타난다.


2. 굶주린 마음을 갖게 되는 원인들


1) 원죄죄를 짓고 에덴동산에서 추방되면서 인간에게 찾아온 것이 굶주림이다(3:18-19).

- 에덴동산에서 추방당한 후에 인간이 겪게 된 고통은 육신적으로 배고픈 환경만이 아니라내면적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받지 못하는데서 오는 굶주린 마음의 고통이었다.

- 인간은 근본적인 배고픔 속에 살고 있다(8:11-13). 이 근본적인 배고픔을 다른 것으로 채우고 살려고 하지만 결국 삶의 어느 시점 에 가면 그것으로 채울 수 없음을 뼈저리게느끼게 된다.


2) 가정환경인간의 근본적인 굶주림을 채울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의 사랑밖에는 없다. 가정은 그런 굶주림에 시달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울타리이다. 그러나 가정에서 거절감을 갖게 함으로써 사랑의 공급이 끊어지고 이로 인해 굶주림의 고통에 더욱 시달리게 한 경우에 심한 굶주린 마음을 갖게 한다.

결손 가정 : 부모가 있어야 할 자리에 없는 모든 경우는 다 굶주린 마음을 갖게 만든다.

사랑을 주지 않는 부모 : 부모가 상처에 의해 사랑을 주지 않을 때에는 굶주린 마음을갖게 된다 (무관심, 편애에 의한 소외).

왜곡된 사랑 :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지만 그 사랑하는 방식이 자기중심적이어서 자녀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 굶주림을 경험하게 된다.


3) 주변 사람들주변에 있는 사람들(배우자 포함)에 의해서 굶주린 마음이 생긴다기보다는 이미 가지고 있는 굶주림을 채우지 못하거나 더 심하게 느끼게 하는 경우가 있다.

- 굶주린 마음은 이미 상한 마음이기 때문에 쉽게 다른 사람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못하게된다(순간적으로 채워지는 것 같은 만족감이 있다가 곧 사라진다. 그러므로 더욱 치유가 쉽지 않다).


3. 굶주린 마음의 증상들


1) 내면의 상태- 채워지지 않는 허기로 인한 우울함이 있다. 언제나 이것이 아닌데 하는 생각 속에 살아간.

- 다른 사람의 인정과 사랑을 갈구하면서도 또 그렇게 갈구하는 자신에 대하여 스스로 비하한다.

- 시기심과 경쟁심에 스스로 시달리고, 그로 인한 죄책감에 시달린다.

- 남에 대하여 속으로라도 우월감을 가져야 편하다.


2) 관계의 장애-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고 갈구한다. 처음에는 굉장히 좋은 것 같으나 나중에는 사람의진을 뺀다.

- 사람들의 인정을 받고 싶어 하고 주목을 받으려고 한다. 그러므로 받을 수 없을 때에는무리한 행동을 하게 되고 이것이 관계를 힘들게 한다.- 사람에게서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사랑을 받지 못하면 굉장히 공격적이 되고 비난을 하게 된다.


- 여러 사람이 더불어 친한 그룹 속에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때로 심한 경쟁과 시기의관계로 끌고 간다.

- 이기적인 모습 (욕심이 많은 사람)

- 사람들 앞에서 위선과 교만을 통해 우월감을 나타내려고 한다. 그러므로 사람들에게 좋지못한 인상을 갖게 한다.

- 공격적인 사람

- 질리게 하는 사람- 되지 못하게 교만한 사람3) 영적인 장애

- 이단이나 건강하지 못한 신앙 형태에 빠질 수 있다.

- 이적이나 현상을 지나치게 추구하는 신앙 스타일을 가질 수 있다(기복적인 신앙).

- 하나님보다 사람을 더 의식하는 신앙생활을 할 수 있다

- 신앙의 성장이 어렵다.

- 영적인 교만이나 우월감을 과시하는 신앙 행태를 보일 수 있다.


4) 포로 된 상태

- 굶주림을 채우기 위한 잘못된 집착이 일어날 수 있다(사람, , , 명예, 물건 등등).

- 심한 경우에는 중독이 일어날 수 있다(, , 담배, 마약, Sex, 도박, 오락, Shopping,등등).


<중독 현상>

- 몸이 피곤하고 건강을 해쳐도 계속한다.

-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멈추지 못한다.

- 가족이나 주변과의 관계를 망가뜨리면서도 계속한다.

- 그것에 대한 생각이 항상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 그것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심심하고 불안하고 어쩔 줄 모른다.

- 잠시는 의지로 끊는 것 같으나 곧 그런 상황을 찾아가고 거기에 빠져든다.


4. 성경에 나오는 굶주린 마음을 가진 사람들

1) 야곱

- 야곱이 굶주린 마음을 갖게 된 것은 아버지 이삭이 장자인 에서만을 편애한 것 때문이었다.

- 야곱이 장자권과 축복에 대단한 집착을 가지고 있었다(아버지 이삭의 축복, 얍복 나루에서의 축복 간구).

- 야곱이 라헬과 그의 소생인 요셉을 사랑한 것은 일종의 굶주림에서 오는 집착이다.

- 야곱이 주변의 사람들과 경쟁관계에 있던 것은 굶주린 마음 때문이다.

- 야곱이 험악한 세월을 살았다고 고백한 것은 굶주린 마음으로 살아온 삶 때문이다(47:9).


* 세 가지 중요한 사실

- 아버지의 편애는 자녀에게 굶주린 마음을 갖게 한다.

- 굶주림을 채우기 위해 무리한 집착을 하게 되고 그것이 인생과 관계를 망가뜨린다.

- 벧엘과 얍복 나루에서의 예배의 체험이 그 굶주림을 채울 수 있는 체험들이었다.


2) 다윗

- 다윗은 막내로 태어나 부모의 무관심 속에서 자라났고, 이것이 그에게 굶주린 마음을 갖게 했다.

- 다윗은 부인에게 집착을 했다(미갈, 아비가일, 밧세바).

- 다윗의 자식에 대한 집착은 모두 굶주린 마음에서 나온 것이다(암논, 압살롬, 밧세바 사이에서 난 아이).

- 다윗이 밧세바와의 사건을 저지르게 된 것은 내면에 있던 굶주린 마음 때문이었다.


* 두 가지 중요한 사실

- 굶주림의 상처는 사라지지 않고 다만 하나님의 사랑으로 채워지고 있을 때에는 치유의상태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영성이 사라질 때는 그 상처가 다시 일어나는 것이다.

- 굶주린 마음을 하나님 앞에 가지고 나가면 갈망하는 마음이 되고 그 굶주림이 하나님의사랑의 채워지는 것이 은혜의 체험이다.

/ 다윗의 시편은 모두 이런 은혜 체험의 산물이다.


<두려워하는 마음>

1. 두려워하는 마음이란 무엇인가 ?

1) 두려워하는 마음이란 마음속에 부적절한 두려움이 자주 엄습하는 것으로 그것 때문에내면적으로 평강이 없고, 관계에 있어서 고통 받는 마음이다.

- 억압되었던 분노를 하거나 혹은 속으로 분노했을 때 이제 이 분노에 대한 벌을 받게될 것에 대한두려움이 뒤따르고 그러므로 분노하는 마음은 필연적으로 두려워하는 마음을갖게 만든다.

- 그러나 두려워하는 마음이 분노 다음에만 나오는 것이 아니고 사실 상처가 많은 내면의사람은 다 이러한 두려움에 자주 잡힌다.

2) 두려움은 내면을 지탱하는 어떤 것이 무너져 내릴 때 느끼는 감정이다.

- 사람은 자아를 지탱하고 있는 의지나 열정 등이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부담이나 실패,좌절, 거절감등에 의해 내면이 무너질 때가 있다. 이때 매우 심한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2. 두려운 마음을 갖게 되는 원인들

1) 원죄죄의 결과로 사망이라는 엄청난 벽을 모든 인간은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지속적인 실패와 좌절을 맛보면서 인간은 두려움을 갖게 되었다.

- 에덴동산에서 아담과 하와가 나무 그늘에 숨은 것은 두려운 마음 때문이었다.

- 원죄 가운데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두려움의 부분이다.

2) 가정환경

상처를 자주 주는 부모 : 부모가 자주 상처를 주는 언사를 하게 되면 자녀는 거기에서어떤 버림받음과 상처를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갖게 된다. 특히 부모가 분노를 자녀에게퍼 부을 때에는 자녀는 내면적으로 동일한 분노를 느끼면서 동시에 그 분노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심한 싸움이 잦은 부모 : 부모가 서로 심하게 싸울 때, 자녀는 상당한 공포를 느끼고, 히 삶의 기반이 흔들리는데서 오는 두려움이 심하게 된다.

불안정한 가정환경 : 가정이 여러 가지 이유로 안정감이 없을 때(아빠의 장기간 출장과이로 인한 별거, 잦은 이사로 인한 전학, 부모의 사망이나 이혼 등에 의한 격심한 가정환경의 변화 등은 두려움을 갖게 하는 원인이다.

왜곡된 사랑에 근거한 자녀 교육 : 왜곡된 부모의 사랑은 자녀 교육에서 두 가지로 드러난다. 하나는 지나치게 엄격하고 체벌이 심한 경우이다. 또 하나는 너무 과잉보호하는 경우이다. 이 두 가지 경우 다 두려운 마음의 상처를 갖게 만드는데, 특히 전자의 경우는 더 그렇다.


3) 주변 사람들성격적으로 강하고 분노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심하게 책임 추궁을 당한 경우 이것이 상처가되어 두려운 마음의 상처를 계속 갖게 된다. 갑자기 책임 추궁을 당할 것 같은 두려움에 시달리게 된다.


3. 두려워하는 마음의 증상들

1) 내면의 상태- 무엇인가 정리되지 않은 내면적인 불안함에 시달린다.

- 갑자기 두려워지면서 불안해진다.

- 어떤 일이 이어나면 필요이상으로 놀래고 두려워한다.

- 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분노를 느끼게 된다.


2) 관계의 장애

- 강한 사람이나 심한 이야기를 들은 경우 그 사람이나 그곳에 가기를 꺼려한다.

- 문제가 생기면 책임 추궁을 두려워해서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책임 전가를 하려고 한다.

- 모든 종류의 훈련(Discipline)을 힘들어하고 어려워한다.

- 새로운 일에 대하여 부정적이거나 추진력이 없이 중도에 그만두고 싶어 한다.


3) 영적인 장애

- 하나님을 향한 지속적인 신뢰가 늘 흔들린다.

- 신앙생활이 기쁨이라기보다는 부담으로 다가올 때가 많다.

- 영적인 진보가 일어나지 못하고 계속적인 Up &Down을 경험한다.

- 하나님과의 친밀감을 느끼지 못하고 그냥 두렵고 멀기만 하다.


4) 포로 된 상태

- 심한 불안감을 이기기 위해 약물에 집착하거나 물질에 매어 달린다.

- 피해 망상적인 감정에 시달린다(건강 염려증).

- 안전하게 자기를 표출할 수 있는 술 중독, TV 등에 빠진다(두려워하는 마음 때문).


4. 성경에 나오는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들

1) 여호수아

- 모세의 사망 이후 그가 느낀 것은 심한 두려움이었다.모세라는 존재가 없다는 사실 자체에서 심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모세 없이 하나님과 직접 만난다는 것에 대하여 심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모세 없이 인도해야하는 백성에 대하여 심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 아이 성의 가벼운 패배 이후에 그가 느낀 두려움은 정도를 넘어선 것이었다(7:5-9).


* 하나님의 전폭적인 돌보심과 함께 하심은 이런 두려움의 사람을 용사로 만드셨다. 하나님 안에서 두려움이 치유된 모델이 바로 여호수아이다. 그가 마지막에 백성 앞에서 신앙의선언을 담대하게 하는 순간 그는 두려움에서 완전히 치유된 사람이었다(24:15).


* 세 가지 중요한 사실

- 두려움이 있는 사람은 새로운 상황에 대하여 특히 못 견뎌 한다.

- 두려움이 있는 사람은 사람이나 물건, 제도 등을 심하게 의지하려고 한다.

- 두려움이 있는 사람은 작은 실패도 너무나 크게 받아들인다.


'강의자료 > 내면의 상처와 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Christian Identity  (0) 2016.09.15
05. 상처와 영적 전쟁  (0) 2016.09.15
04. 열등감과 죄책감  (0) 2016.09.14
02. 거절감과 분노  (0) 2016.09.14
01. 내면의 상처와 치유  (0) 2016.09.14